Trouble shooting 을 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기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 용매(이동상)의 bottle에서 부터 검출기 까지의 흐름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시스템 각 단계를 하나하나 검토해야 하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.
< 분석시 문제점과 관련된 UNITS >
1. Pressure
: Degasser , Pump , Auto-sampler , Column , Detector
2. Retention time
: Solvent , Pump , Column
3. Area value
: Auto-sampler , Detector
4. Peak problem
: Column
- 일반적으로 0.45uM 필터 사용 ( pump plungers , seals and check valves lifetime의 증가)
2. Filter후 degassing ( baseline의 안정화에 기여 )
- Helium sparging , Sonication , Vacuum filteration
- Sonication의 경우 일반적으로 오래 하지 않는 것을 추천 ( 5min )
- Binary pump << Single pump ( stabled baseline )
- Purge valve frit의 오염 : High pressure // Frit의 교체
1. Flow cell 문제 : Baseline 이상
2. Lamp 수명에 따른 area 값 변화
*** 컬럼과 검출기는 연결하지 않는다. ***
1. Mobile phase without buffer salts
2. 100% Organic ( MeoH , ACN )
( 효과가 없으면 아래로)
3. 75% ACN + 25% isopropanol
4. 100% Isopropanol
5. 100% MC
6. 100% Hexane ( 이후 반드시 IPA 흘림 )
Filter size :
0.45um ( 3.5um , 5.0um particle columns)
0.2 um (1.8um particle columns )
Best I.D. is 13~25mm
-Solvent의 용해도 : Buffer와 유기용매가 섞일때 유기용매가 너무 많게 되면 buffer 석출/압력이상의 우려가 있다.
( 사용하는 buffer의 종류에 따른 용해도 고려)
- Injection needle 파손
2.1 ( sample syringe 교체 )
- sample syringe 파손으로 인한 sample의 손실
- syringe내 bubble로 인한 sample의 주입량 이상
2.2 ( sample 희석 , injection speed 조절)
- sample의 점도로 인하여 일정량을 injection하지 못할경우
2.3 (detector 점검)
- 감도저하 ( lamp or cell contamination )
- Blockage column inlet ( Inlet부분의 파손(충진제)으로 앞부분의 peak에 영향 )
- Late eluting peaks ( 이전 과정의 injection 으로 인해 발생 )
- 모든 피크가 broad한 경우
( UV의 경우 data rate 조절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며 sample solvent의 용매강도 체크한다.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이동상에 녹이는것 혹은 이동상과 비슷한 용매 강도를 갖는 용매에 용해시킨다 역상 컬럼에서는 DDW가 가장 이상적)
- 충진제 손상으로도 나타날수 있다.
- Column 오염 ( 세척한다. )
- Void volume ( column을 교체하여 본다. )
5. Peak Fronting
- Injection Disrupting Equilibrium
( 잘 녹지 않는 용매로 sample을 녹여 과량 인젝션 할 경우 나타남. sample녹인 용매를 이동상으로 희석하거나 이동상보다 약한 용매사용)
- Column Voiding ( Column 교체한다.)
- Guard column contamination ( 가드컬럼 교체)
6. Peak tailing
- Column내 secondary interactions
( 이동상을 바꿔서 실험 , Silanol effect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(염기성 시료와 resin과의 이온교환 현상으로 나타남) pH조절(산성조건)로 시도해본다. 혹은 TEA첨가로 부반응 억제)
** 일반적인 역상 컬럼의 pH조건은 2~8이다 2이하의 산성조건에서는 alkyl chain의 끊어짐 8이상의 염기조건에서는 resin의 용해가 발생될수 있다. ***
- Column 오염 ( 강한 용매로 세정 , 위의 세정법 참고 )
- ECV에 의한 효과 ( 확산효과로 인한것, rotor seal, detector cell vol등을 확인해본다 )
7. Retention time 의 변화
- 시스템 비평형 ( 안정화 시간의 불충분 , gradient실험의 경우에 To값을 고려하여 5분이상 줄것 , ion-pair시약의 사용에는 보다 많은 시간을 안정화에 사용해야 함)
- Pump pressre/Action problems
( 유량의 불안정은 압력을 변화시킬수 있다.)
- Temperature
- Volume injection
( sample의 주입량을 줄이거나 희석 , 작은 용매강도의 용액으로 컬럼의 적정 주입량보다 10%정도 더 주입할수 있으나 강한 용매의 경우 1% 정도만 더 사용할수 있다. )
- Solvent blending problems
( 용매의 상호간 섞임성을 파악한다. Miscibility number가 15 이하이면 섞임성이 좋다.)
[참고]
조건의 변화에 따른 머무름 시간의 변화
(1) Flow rate (+/-) 1% => (+/-) 1% Rt
(2) Temp (+/-) 1deg C => (+/-) 1 to 2 % Rt
(3) %Organic (+/-) 1% => (+/-) 5 to 10 % Rt
(4) pH (+/-) 0.01% => (+/-) 0 to 1% Rt
<reference>
영화과학 세미나 자료
www.forumsci.co.il/HPLC/topics.html
chromservis.cz/group/hints-and-t...ang%3DCZ
www.chem.agilent.com/en-US/Suppo...710.aspx
'Stage 2 > Instrumental Analysis & Isolation(HPLC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KTA purifier UV check (0) | 2010.05.31 |
---|---|
Column scale-up (0) | 2010.04.03 |
HPLC " fast analysis " (0) | 2010.03.24 |
RCF ( relative centrifugal Force ) (0) | 2010.02.10 |
Ion-pair chromatography (0) | 2010.01.22 |